본문 바로가기검색 바로가기메뉴 바로가기
 

여행

  • 추운 고장 제천서 12월 매운 음식 페스티벌 추운 고장 제천서 12월 매운 음식 ...
    명동서 매운 등갈비·빨간오뎅 등 선보이기로 (제천=연합뉴스) 박재천 기자 = 등갈비, '빨간오뎅(어묵)' 등 충북 제천의 매운 음식을 관광객들에게 선보이는 축제가 벌어진다. 제천시는 오는 12월 20일부터 6일간 속칭 명동 갈비골목 일원에서 '2019 제천 핫 앤드 스파이시 푸드 페스티벌'을 벌이기로 했다고 26일 밝혔다. 시는 많은 국민이 선호하는 매운 음식 관련 축제를 선점해 미식관광도시 제천을 널리 알리기 위해 행사를 기획했다. 제천은 겨울철 혹한으로 유명한데, 맵고 얼큰한 음식으로 추위를 이기자는 취지도 있다. 시는 구도심 활성화와 함께 갈비골목을 음식특화거리로 육성하기 위해 이 일대를 축제 장소로 결정했다. 매운 등갈비 등 고기류를 취급하는 일대 업소 10곳과 빨간오뎅·매운 돈가스 점포 판매소 등 모두 20개가량의 부스(식당)가 마련된다. 일부 업소는 별도의 매운 메뉴를 개발 중이다. 아이스크림, '달고나', 마카롱 등 단 음식을 먹을 수 있는 디저트 구역도 운영된다. 시는 추억의 사진관, 인형 뽑기, 빨간오뎅 빨리 먹기, 크리스마스이브 EDM 파티 등 부대행사도 준비 중이다. 시는 이번 행사가 성공적으로 치러지면 내년부터 전국의 매운 음식을 한데 모으는 축제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할 계획이다. 시는 또 과거 철도교통의 요충지인 제천역과 연관되는 음식이 가락국수임에 착안, 화산동 뒷골목에 국수 특화거리를 조성해 관광객들을 시내로 유입시키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jcpark@yna.co.kr
  • 평화의 섬, 꽃의 바다에 취하다…거제섬꽃축제 개막 평화의 섬, 꽃의 바다에 취하다…거제...
    거제시 농업개발원 11월 3일까지, 내년 초 정식개장 '정글 돔' 사전 공개 (거제=연합뉴스) 이정훈 기자 = 경남 거제시의 대표적 가을 축제인 제14회 거제섬꽃축제가 26일 개막했다. 11월 3일까지 열리는 섬꽃축제 행사장은 거제시 거제면 서정리 농업개발원. '평화의 섬, 꽃의 바다'가 올해 행사 주제다. 바닷가를 낀 농업개발원 11만㎡ 전체가 가을꽃 전시장이다. 행사장에선 국화 등 가을꽃과 매리골드, 팬지 등 사철 꽃들을 한꺼번에 볼 수 있다. 분홍색 솜사탕 같은 자태로 인기를 끄는 핑크뮬리 군락도 빠트릴 수 없다. 거가대교 등 거제시 상징물과 남부내륙철도 조기 개통을 염원하는 KTX 열차를 꽃으로 표현한 작품들도 볼거리다. 국내 최고 높이(30m)와 최대 면적(4천468㎡)을 자랑하는 돔형 온실인 '정글 돔'은 내년 초 정식개장에 앞서 거제섬꽃축제 기간 중 관광객들에게 사전 공개한다. 난지 과수원에서 생산한 각종 아열대 작물도 볼 수 있다. 축제 입장료는 어른 3천원, 청소년·어린이 2천원이다. 거제시는 축제 기간 시내버스를 고현시외버스터미널과 농업개발원을 오가는 노선에 임시로 투입한다. 거제시는 2006년부터 섬꽃축제를 시작했다. seaman@yna.co.kr
  • 창원서 국화축제 찍고 단감축제 즐긴다…주말 동시 개막 창원서 국화축제 찍고 단감축제 즐긴다...
    전국 최대 국화축제 11월 10일까지·단감축제 27일까지 열려 (창원=연합뉴스) 이정훈 기자 = 가을이 무르익는 10월 말. 경남 창원시에서 가을을 상징하는 꽃과 과일 축제가 각각 개막했다. 전국 최대 규모 가을꽃 축제로 꼽히는 '제19회 마산국화축제'가 26일 시작됐다. 창원시(옛 마산시)는 1960년대 국내에서 처음으로 국화를 상업적으로 키운 곳이다. 가장 앞선 재배 기술을 앞세워 지금도 전국에서 가장 많이 국화를 재배하는 '국화의 고장'이다. '오색 국화 향기 가을 바다 물들이다'가 올해 축제 슬로건이다. 주 행사장인 마산합포구 마산수산시장 장어거리 일대 방재언덕은 온통 오색 국화 천지다. 형형색색으로 활짝 핀 국화 화분 13만6천여개로 만든 9천500여개 작품이 마산만을 배경으로 한 축제장을 가득 채웠다. 올해는 마산항 개항 120주년이다. 항해하는 배와 배를 조종하는 방향타 모양을 본 떠 높이 7m, 폭 15m짜리 대형 국화작품이 축제장 입구에서 관광객들을 반긴다. 한 그루에서 나온 여러 가지에서 국화 1천500송이가 동시에 개화한 작품인 '다륜대작'(多輪大作)도 관광객 눈길을 끈다. 부마민주항쟁 40주년, 저도 연륙교, 3·15 의거탑, 괭이갈매기, 프로야구단 NC다이노스 등 마산 상징물과 자유의 여신상, 뽀로로 등 만개한 국화로 만든 각종 캐릭터가 시선을 사로잡는다. 축제장 앞 마산만에는 각양각색의 유등을 띄워 축제 분위기를 더욱 고조시킨다. 진한 국화 향은 축제장에만 머물지 않는다. 걸어서 갈 수 있을 정도로 가까운 오동동, 창동 일대가 온통 국화 전시장으로 변했다. 주 축제장인 방재언덕 못지않게 다양하고 화려한 국화작품들을 거리에 전시한다. 축제 기간 창동예술촌 아고라 광장, 오동동 문화광장에서 창동의 과거와 현재를 한눈에 보는 사진 공모전, 벽화 속 숨은그림찾기 등 다양한 프로그램
  • [길따라 멋따라] 해외여행에서 무심코 먹었는데 대마 초콜릿? [길따라 멋따라] 해외여행에서 무심코...
    (서울=연합뉴스) 성연재 기자 = 최근 중부 유럽에 있는 한 나라의 길거리를 걷다 발견하고서 깜짝 놀란 먹거리가 하나 있다. 바로 대마 초콜릿(Cannabis Chocolate)이었는데, 노점에서 당당하게 판매되고 있었다. 상당수 국가에서는 대마가 불법이 아니지만, 국내법은 그렇지 않다. 외국 여행 시 대마를 피우거나 먹더라도 속인주의를 따르는 우리 형법 특성에 따라 국내법을 적용받아 처벌받는다. 실제로 최근 재벌 2세 등이 잇따라 마약을 투약하거나 반입하다 공항에서 적발되기도 했다. 해외에서 변종 대마를 피우고 밀반입한 혐의를 받았으나 구속영장이 기각된 홍정욱 전 한나라당 의원의 딸은 불구속 상태로 재판에 넘겨졌다. 외국에서 변종 대마를 피우고 국내로 밀반입한 혐의로 구속기소 된 이재현 CJ그룹 회장의 장남도 1심에서 징역형의 집행유예를 선고받고 석방됐다. 재벌 2세뿐만 아니라 일반 여행자들 가운데서도 실수 또는 고의로 항공편을 통해 들여오는 마약 반입량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 김경협 의원이 관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보면, 비행기를 통한 직접적인 마약 반입자 수와 물량이 작년과 올해 급증했다. 2017년부터 작년까지 항공 여행자 마약 반입 적발자 수는 연평균 53명이었지만 올해는 150명으로 3배에 달했다. 들여오는 물량도 2017년에는 15kg, 163억원이었으나, 지난해는 87kg, 1천800억원, 올해는 8월까지 69kg, 1천300억원으로 급증했다. 특이한 점은 2017년까지 전혀 적발된 적이 없었던 액상 키트 등의 대마 추출물과 쿠키, 캔디, 젤리 등의 식품 형태 대마류 적발이 지난해 7건, 올해 8월까지 67건으로 급증 추세를 보였다는 점이다. 외국의 대마 합법화 등의 영향이 크지만 대마 초콜릿 등 다양한 변종 마약의 등장도 무시할 수 없는 이유로 분석되고 있다. 해외에서 인지하지 못하고 들여오는 경우도 있다는 것이다.
  • 국토 최남단 체험관광상품 '마라도 섬투어' 출시 국토 최남단 체험관광상품 '마라도 섬...
    (제주=연합뉴스) 변지철 기자 = 마라도 현지민 해설사의 해설을 들으며 마라도를 제대로 즐기는 섬마을 체험여행 상품인 '마라도 섬투어'가 출시됐다. 마라도 주민이 직접 기획·운영하는 '마라도 섬투어'는 마라도와 제주를 잇는 여객선 선사 2곳과 연계해 마라도를 방문하는 관광객들에게 마라도가 지닌 다채로운 매력들을 선보이는 섬마을 체험여행 상품이다. 이 상품은 2017년부터 서귀포시와 제주관광공사, 마라리 마을회가 함께 추진하고 있는 마라도 매력화 프로젝트 사업을 통해 지역주민 스스로 관광객이 다시 방문하고 싶은 마라도를 만들기 위해 선사와 함께 지속가능한 마라도의 미래를 고민하는 과정에서 기획됐다. '마라도 섬투어'는 주민해설사와 함께하는 '섬마을 투어', 지역특산물을 활용한 로컬푸드인 '추억의 도시락' 체험, 나만의 느린 마라도 자유여행으로 구성돼 3시간 동안 마라도를 천천히 느껴볼 수 있다. '마라도 섬투어'는 이달 30일부터 12월 18일까지 매주 수요일 2차례씩 운영되며 총 8주간 16 차례에 걸쳐 진행된다. 여행상품 예약은 네이버(https://www.naver.com/)에서 가능하다. 이번 여행상품을 기획한 마라도 협동조합 김은영 이사장(전 마라리장)은 "마라도를 방문하는 관광객들에게 서툴지만, 우리가 직접 마라도를 소개하고 싶었다"며 "이번 기회에 국토최남단 마라도의 진짜 모습들을 보고 소중한 가을여행의 추억을 만들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bjc@yna.co.kr
  • 호주 젯스타·제주항공, 인천∼골드코스트 12월 초 취항 호주 젯스타·제주항공, 인천∼골드코스...
    보잉 787-8 드림라이너 투입…40만원대 파격적 가격 판매 계획 (서울=연합뉴스) 성연재 기자 = 호주 젯스타와 제주항공이 파격적인 가격으로 인천∼골드코스트 직항 노선에 취항한다. 호주 퀸즐랜드주 관광청은 25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골드코스트 신규취항 세미나를 열고 아태 지역 저비용항공사 그룹인 젯스타그룹의 젯스타 항공과 제주항공이 공동운항(코드쉐어)으로 인천∼골드코스트 노선에 오는 12월 8일 취항한다고 밝혔다. 이번 노선에는 333석 규모의 보잉 787-8 드림라이너 항공기가 투입된다. 주 3회 일정인 이번 노선은 수·금·일요일 인천에서 출발해 골드코스트에 도착한 뒤 같은 날 골드코스트를 출발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특히 양 항공사는 취항을 기념해 40만원대의 파격적인 가격으로 항공권을 판매할 계획이다. 그간 간헐적으로 전세기는 투입된 적이 있으나 골드코스트 직항 취항은 이번이 처음이다. 인근 브리즈번까지는 대한항공이 100만원이 넘는 가격대에 항공편을 운항 중이다. 퀸즐랜드주 관광청은 이번 신규 노선 취항으로 2천개 이상의 지역 일자리 창출을 비롯해 1억7천만호주달러(약 1천400억원)에 달하는 경제적 가치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퀸즐랜드주 관광청 홍보 대행을 맡은 에이뷰코리아 김용남 이사는 "이번 젯스타 취항으로 높은 항공권 가격 탓에 심적인 저항감이 있었던 호주 여행의 문턱이 크게 낮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호주에서 3번째로 한국인들이 많이 찾는 여행지인 골드코스트는 서퍼스 파라다이스를 시작으로, 57km 길이의 해안가 주변에 수많은 랜드마크가 자리 잡고 있다. polpori@yna.co.kr
더보기 >>

축제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