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 北발사체 쏜 날, 일부 장성 골프 논란…"작전기관 인원은 복귀"
- 美국무부 "비건, 러 외무차관과 통화…北FFVD·제재이행 논의"(종합)
- 인천시, '서해평화포럼' 발족…평화도시 정책 기반 마련
- 외교부, '교민 1천500명 체류' 이라크 상황 "주시하고 있다"
- 식량위기 北, 이번엔 '가뭄과 전쟁'…"물을 찾아라" 독려
- 전문가 "북미협상 교착국면…군비통제가 선도적 역할해야"
- 주한미군, '연합사 평택기지로 이전' 제시…"현재 협의중"(종합)
- 국방부-소방청 재난대응 업무협약…"인력·물자장비 상호지원"
- DMZ 화살머리고지서 국군전사자 추정 첫 완전유해 발굴
- 송영무 "김정은, 자유사상 접근…우리도 전쟁 트라우마 벗어야"(종합)
- 트럼프 전 보좌관 "미국은 北과 전쟁 아닌 대화 원해"
- [연합시론] 트럼프 방한, 비핵화 협상의 새로운 동력 되길
- 정명훈의 세번째 원코리아…"남북협연, 가능성 작아도 노력"(종합)
- 강원교육청 "北 군사 움직임에도 남북 교육교류 흔들림 없다"
- 정경두 "분초 다투는 정보화시대…2월 스마트국방혁신계획 하달"
![美국무부 "비건, 러 외무차관과 통화…北FFVD·제재이행 논의"](https://img0.yna.co.kr/template/kr/2019/05/16/kr_990_20190516162447_P2.jpg)
- 3대장군 명필체
- 김일성 주석과 김정일 국방위원장, 김 위원장의 생모 김정숙의 필체를 지칭. 이들의 필체는 각각 태양서체, 백두산서체, 해발서체로 불린다. 북한의 대중잡지 천리마(2001.8)는 이들의 필체를 이같이 명명한 것에 대해 주체서예를 발전시키는 데서 거대한 력사적 의의를 가진다고 평했다. 김 주석과 김 국방위원장의 필체는 약간 기울어진 글씨체인데 김 주석 필체는 주체의 서풍으로 일관됐으며 힘있고 굳세며 활달한 명필체로, 김 국방위원장의 필체는 그 시작으로부터 끝날 때까지 중단함이 없이 명제와 명문장, 명문구로 일관하게 필을 달리는 일필휘지의 절정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김 주석의 필체는 옥류교, 충성의 다리, 통일전선탑, 김책공업종합대학, 김형직사범대학 등의 현판이 대표적이며 김 위원장의 필체는 혁명열사릉과 김일성종합대학의 현판, 백두산 바위에 새겨진 우상글귀 혁명의 성산 백두산 김정일 등이 있다. 김정숙의 필체는 백두산 밀영과 청봉 숙영지에 있는 구호문헌이 대표적이다. 북한은 2001년 4월 27일 백두산 3대장군 명필체와 관련한 연구토론회(세미나)를 가지기도 했다.
용어 사전
[이슈돋보기] 北 단거리 발사체 발사
지속가능한 한반도 평화협력 구상첨부파일
통일연구원평양 남북정상회담 이후 한반도 비핵화 전망과 과제첨부파일
통일연구원개성공단 조성과 개성공단 발전에 관한 실증연구첨부파일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북한학과